문헌록 전자족보(대동보) > 문헌록
           
1. 문헌 목록 〉23. 23世 〉19. <부정공>만운공휘상노가장(晩雲公諱相魯家狀)
1. 문헌 목록 〉23. 23世 〉21. <부정공>학생공휘석신묘표(學生公諱晳新墓表)
1. 문헌 목록 > 23. 23世 >  
20.<부정공>학생공휘석우묘표(學生公諱晳祐墓表)
學生公諱晳祐墓表 維昇州郡住巖面廣川里鷹峰山負酉之原寔孝子學生趙公暨孝婦孺人柳氏合兆之藏也在世而鄉邦矜式焉沒而行路亦加敬嘖嘖道雙考之墓何必待崇褒之典而始耀于世哉吁其盛矣趙公諱晳祐字致寬玉川大姓勝國玉川府院君忠獻公諱元吉本朝莊陵節臣節愍公諱崇文之裔累傳至諱以根寔公高祖曾祖諱中燁祖諱相奎考諱啓鉉世有文行妣文化柳氏仁模女宜寧南氏興權女柳氏出也以 高宗乙丑五月二十二日生天性根孝甫受學不與羣兒遊嬉事親常不離側年至十三遭慈憂朝夕省墓三年一日不廢焉奉嚴親日視膳自知川魚爲所嗜未嘗乏絶親年隆耋行歩難能則自家間行事以至外聞外見輒吿之一無遺漏以悦之繼妣南氏性苛峻責多非理一意承順少無忤焉丁憂易威備至後喪年近六旬柴毀逾制祭祀必致誠敬宗族必致敦睦凡其美行懿德固多可述而無非孝之推也孺人籍瑞山簪纓文學歷世焜耀光漢其考生 高宗癸亥正月二十日卒于丙子三月十五日自未笄己以孝女稱及歸孝于舅姑事夫子無違奉繼姑見待不愛一無怨尤及其產一子夭折則尤有所難言者孺人不見色辭盡誠竭力竟致感悦人稱夫婦之孝而南氏之底豫内助爲多云男甲容哲容女適清州韓玟洙子桂臣桂英桂春孫玉基陽川許一萬廣州李永輝妻長房出正基在基靑松沈相佑妻次房出會玄不盡錄古有稱一孝婦而昌大其門云則孝子孝婦之門豈不昌大矣乎甲容今將樹石于墓道以余知之詳而慕之深責以文不敢以不文辭 歲丙午三月下澣 新平 宋滄 撰 학생공휘석우묘표(學生公諱晳祐墓表) 생각하니 승주군 주암면 광천리 매봉산 유좌의 언덕은 곧 효자 학생 조공 및 효부 유인 유씨를 합장한 묘소이다. 살아서는 향방의 해범이 되었고, 사후에는 길 가는 사람마다 공경하는 마음으로 입을 모와 효성스런 두 분의 무덤이라 말들 하니, 어찌 곡 높이 정포한 은전을 받은 뒤에라야만이 비로소 세상에 빛난다 하겠는가, 감탄을 금치 못하는 바이다. 조공의 휘는 석우(晳祐)요, 자는 치관(致寬)이며, 옥천에 알려진 성씨로 고려국 옥천부원군 충헌공 휘 원길(元吉)과 본조 장릉 절신 절민공 휘 숭문(崇文)의 후손이다. 여러번 전하여 휘 이근(以根)은 공의 고조요, 증조 휘 중엽(中燁) 조 휘 상규(相奎) 고휘 계현(啓鉉)은 대로 문행이 있었고, 비는 문화 유씨 인모녀와 의령 남씨 흥권녀인데, 공은 유씨 소생이다. 고종(高宗) 을축(一八六五)년 五月 二十二일에 태어난 공은 천성이 지효하여 글을 배우며, 여러 아이들과 히롱하고 놀지 아니하며, 어버이를 섬기며 항상 곁을 떠나지 아니하고 十三세에 자친상을 당하여 三년을 조석으로 성묘하였으며, 아버지를 봉양하며 날로 찬수를 살피고 특별히 천어를 좋아하시는 줄 알고, 일찍 떨어뜨리지 아니하며, 어버이 춘추가 높아 행보가 어려움에 집안 일부터 밖에 일까지 본 것을 빠짐없이 고하여 기쁘게 해 드리고, 계비 남씨의 성품이 까다로와 이치에 맞지 않는 책망이 많았으나 한결같이 순종하였다. 상사를 당하여 치상 범절을 모두 지극하게 하고, 다음 상사 때에는 六十노령에도 화목하게 하였으니, 그 착한 행실과 아름다운 덕이 진실로 가히 기술할 자 많은 것은 모두 효도의 여사가 아님이 없었다. 유인의 관향은 서산이다. 작녹과 문학이 대대로 빛나던 집안 광한(光漢)의 따님으로 철종(哲宗) 十四年 一八六三年에 출생하여 병자(丙子)년 三月十五日에 졸하였다. 유인이 친가에서부터 이미 효녀로 칭도하더니, 우귀하여 시부모께 효도하고 부자에게 공경을 다하며, 계고(繼姑)가 자애로 대하지 아니하여도 원망하는 빛이 없었다. 부인이 낳은 아들이 일찍 죽었을 때에는 더욱 견디기 어려운 학대가 있었으나 안색에 나타내지 않고 정성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마침내 감동시켜 기쁨을 이루도록 하니, 사람이 부부의 효도를 칭찬하고 남씨 또한 기뻐하여 내조를 많이 하였다함. 아들은 갑용(甲容)·철용(哲容)이요, 여는 청주 한민수(韓玟洙) 처로 아들은 계신(桂臣)·계영(桂英)·계춘(桂春)이며 손자 옥기(獄基) 양천 허일만(許一萬), 광주 이영휘(李永輝) 처는 장방출이고, 정기(正基)·재기(在基) 청송 심상우(沈相佑) 처는 둘째 아들 소생이며, 증·현은 다 기록하지 않는다. 옛 말에 효부한 사람만 있어도 그 문세가 창성한다 하였는데 효자, 효부 쌍효의 문내가 어찌 창대하지 아니하겠는가? 갑용(甲容)이가 이제 묘도에 비를 세우려 하면서 내가 자상이 알고, 깊이 추모한다 하여 나에게 묘문을 청하니, 감히 문자가 졸함으로 사절하지 못하고 위와 같이 쓴다. 신평(新平) 송 창(宋滄) 지음
 
1. 문헌 목록 〉23. 23世 〉19. <부정공>만운공휘상노가장(晩雲公諱相魯家狀)
1. 문헌 목록 〉23. 23世 〉21. <부정공>학생공휘석신묘표(學生公諱晳新墓表)